처음 알고리즘을 공부하기 시작하였을 때 다른 사람들의 코드를 읽으며 가장 알 수 없었던 부분입니다.
C++ (?)(물음표) 기호가 무엇인가요? 등의 검색을 계속했음에도 이 것을 아는 데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걸렸어요.
오늘은 삼항 연산자에 대하여 아주 간단하게 소개하겠습니다.
간단히 표현하자면 삼항 연산자는
(조건) ? (참일 때 반환 결과) : (거짓일 때 반환 결과)
로 이루어 집니다.
예를 들어
이 코드의 반환 값이 예측되나요?
네 맞습니다 3이 출력되지요.
그렇다면 false일 경우에는?
예측하신 그대로입니다. 4가 출력되지요.
앞서 말씀드린 조건 자리에는 if(/*조건*/)에 들어가는 수식에 포함되는 것과 정확히 일치합니다.
그럼 마지막으로 하나 여쭤보겠습니다.
( n > 4 ? 4 : n + 1)
해당 삼항 연산자는 어떻게 작동할까요?
네 맞습니다. n이 4보다 클 경우에는 해당 삼항 연산자는 4를 return 하고 n이 4보다 작을 경우에는 (n + 1)의 결과를 반환할 것입니다.
삼항 연산자를 통해 더욱 멋있고 더욱 짧은 코드를 작성해 보세요
'알고리즘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분할정복을 이용한 정방행렬의 거듭제곱과 함께하는 빠른 점화식 계산 (1) | 2024.09.25 |
---|---|
C++ string "+" (덧셈) append 속도차이 (0) | 2023.02.23 |
const char* 자료형에서 순회를 하는 방법 (0) | 2022.09.07 |
C++ 1ll(1LL)이란 (2) | 2021.11.24 |
using namespace std의 위험성에 관하여(PS) (0) | 2021.11.23 |